Post

[2] 전력망을 둘로 나누기 - 86971

[2] 전력망을 둘로 나누기 - 86971

문제 링크

문제 링크

성능 요약

메모리: 3.68 MB, 시간: 1.61 ms

구분

코딩테스트 연습 > 완전탐색

채점결과

정확성: 100.0
합계: 100.0 / 100.0

문제 설명

n개의 송전탑이 전선을 통해 하나의 트리 형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당신은 이 전선들 중 하나를 끊어서 현재의 전력망 네트워크를 2개로 분할하려고 합니다. 이때, 두 전력망이 갖게 되는 송전탑의 개수를 최대한 비슷하게 맞추고자 합니다.

송전탑의 개수 n, 그리고 전선 정보 wir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전선들 중 하나를 끊어서 송전탑 개수가 가능한 비슷하도록 두 전력망으로 나누었을 때, 두 전력망이 가지고 있는 송전탑 개수의 차이(절대값)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n은 2 이상 1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 wires는 길이가 n-1인 정수형 2차원 배열입니다.
    • wires의 각 원소는 [v1, v2] 2개의 자연수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전력망의 v1번 송전탑과 v2번 송전탑이 전선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1 ≤ v1 < v2 ≤ n 입니다.
    • 전력망 네트워크가 하나의 트리 형태가 아닌 경우는 입력으로 주어지지 않습니다.

입출력 예
nwiresresult
9[[1,3],[2,3],[3,4],[4,5],[4,6],[4,7],[7,8],[7,9]]3
4[[1,2],[2,3],[3,4]]0
7[[1,2],[2,7],[3,7],[3,4],[4,5],[6,7]]1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 다음 그림은 주어진 입력을 해결하는 방법 중 하나를 나타낸 것입니다.
  • ex1.png
  • 4번과 7번을 연결하는 전선을 끊으면 두 전력망은 각 6개와 3개의 송전탑을 가지며, 이보다 더 비슷한 개수로 전력망을 나눌 수 없습니다.
  • 또 다른 방법으로는 3번과 4번을 연결하는 전선을 끊어도 최선의 정답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입출력 예 #2

  • 다음 그림은 주어진 입력을 해결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입니다.
  • ex2.png
  • 2번과 3번을 연결하는 전선을 끊으면 두 전력망이 모두 2개의 송전탑을 가지게 되며, 이 방법이 최선입니다.

입출력 예 #3

  • 다음 그림은 주어진 입력을 해결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입니다.
  • ex3.png
  • 3번과 7번을 연결하는 전선을 끊으면 두 전력망이 각각 4개와 3개의 송전탑을 가지게 되며, 이 방법이 최선입니다.

출처: 프로그래머스 코딩 테스트 연습,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hallenges

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include <iostream>
#include <vector>
#include <unordered_map>
#include <stack>
#include <algorithm>

using namespace std;

int arr[101][101];

int answer = 21e8;
int firstGroupCnt = 0;

void dfs(int start, int n)
{
	firstGroupCnt = 0;
	bool visited[101] = { false };
	stack<int> s;
	s.push(start);
	while (!s.empty())
	{
		int current = s.top();
		s.pop();

		if (visited[current])
			continue;
		visited[current] = true;
		firstGroupCnt++;
		for (int next = 0; next < n; next++)
		{
			if (arr[current][next] == 1 && !visited[next])
			{
				s.push(next);
			}
		}
	}

	// 두 번째 그룹은 전체 노드 수에서 첫 번째 그룹의 노드 수를 뺀 값
	int SecondGroupCount = n - firstGroupCnt;

	answer = min(answer, abs(firstGroupCnt - SecondGroupCount));
}

int solution(int n, vector<vector<int>> wires)
{

	// 노드 생성
	for (const auto &wire : wires)
	{
		arr[wire[0] - 1][wire[1] - 1] = 1;
		arr[wire[1] - 1][wire[0] - 1] = 1;
	}

	// 와이어 삭제 후 송전탑 개수 계산
	for (int from = 0; from < n; ++from)
	{
		for (int to = from + 1; to < n; ++to)
		{
			if (arr[from][to] == 1)
			{
				// 연결된 와이어 제거
				arr[from][to] = 0;
				arr[to][from] = 0;

				// 첫 번째 그룹 탐색
				dfs(from, n);

				// 제거했던 와이어 다시 복구
				arr[from][to] = 1;
				arr[to][from] = 1;
			}
		}
	}

	return answer;
}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