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

[Gold III] 세 용액 - 2473

[Gold III] 세 용액 - 2473

문제 링크

문제 링크

성능 요약

메모리: 2160 KB, 시간: 44 ms

문제 설명

KOI 부설 과학연구소에서는 많은 종류의 산성 용액과 알칼리성 용액을 보유하고 있다. 각 용액에는 그 용액의 특성을 나타내는 하나의 정수가 주어져있다. 산성 용액의 특성값은 1부터 1,000,000,000까지의 양의 정수로 나타내고, 알칼리성 용액의 특성값은 -1부터 -1,000,000,000까지의 음의 정수로 나타낸다.

같은 양의 세 가지 용액을 혼합한 용액의 특성값은 혼합에 사용된 각 용액의 특성값의 합으로 정의한다. 이 연구소에서는 같은 양의 세 가지 용액을 혼합하여 특성값이 0에 가장 가까운 용액을 만들려고 한다.

예를 들어, 주어진 용액들의 특성값이 [-2, 6, -97, -6, 98]인 경우에는 특성값이 -97와 -2인 용액과 특성값이 98인 용액을 혼합하면 특성값이 -1인 용액을 만들 수 있고, 이 용액이 특성값이 0에 가장 가까운 용액이다. 참고로, 세 종류의 알칼리성 용액만으로나 혹은 세 종류의 산성 용액만으로 특성값이 0에 가장 가까운 혼합 용액을 만드는 경우도 존재할 수 있다.

산성 용액과 알칼리성 용액이 주어졌을 때, 이 중 같은 양의 세 개의 서로 다른 용액을 혼합하여 특성값이 0에 가장 가까운 용액을 만들어내는 세 용액을 찾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는 전체 용액의 수 N이 입력된다. N은 3 이상 5,000 이하의 정수이다. 둘째 줄에는 용액의 특성값을 나타내는 N개의 정수가 빈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이 수들은 모두 -1,000,000,000 이상 1,000,000,000 이하이다. N개의 용액들의 특성값은 모두 다르고, 산성 용액만으로나 알칼리성 용액만으로 입력이 주어지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출력

첫째 줄에 특성값이 0에 가장 가까운 용액을 만들어내는 세 용액의 특성값을 출력한다. 출력해야하는 세 용액은 특성값의 오름차순으로 출력한다. 특성값이 0에 가장 가까운 용액을 만들어내는 경우가 두 개 이상일 경우에는 그 중 아무것이나 하나를 출력한다.

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include <iostream>
#include <vector>
#include <algorithm>

using namespace std;

int N;
vector<long long> arr;

long long closestSumToZero = 30e8;
vector<long long> closestNums(3);

int main() {
	cin.tie(0)->sync_with_stdio(0);

	cin >> N;

	for (int i = 0; i < N; i++) {
		int num;
		cin >> num;
		arr.push_back(num);
	}

	sort(arr.begin(), arr.end());

	// 투 포인터 탐색
	for (int left = 0; left < N; left++) {
		int mid = left + 1, right = N - 1;

		while (left < mid && mid < right) {
			long long sum = arr[left] + arr[mid] + arr[right];

			// 합이 0이
			if (sum == 0) {
				cout << arr[left] << " " << arr[mid] << " " << arr[right] << "\n";
				return 0;
			}

			// 0에 가까운 값 갱신
			if (abs(sum) < abs(closestSumToZero)) {
				closestSumToZero = sum;
				closestNums = { arr[left], arr[mid], arr[right] };
			}

			// 갱신
			if (sum > 0) {
				right--;
			}
			else {
				mid++;
			}
		}
	}

	// 결과 출력
	cout << closestNums[0] << " " << closestNums[1] << " " << closestNums[2] << "\n";

	return 0;
}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