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

[Gold IV] DSLR - 9019

[Gold IV] DSLR - 9019

문제 링크

문제 링크

성능 요약

메모리: 2288 KB, 시간: 3508 ms

문제 설명

네 개의 명령어 D, S, L, R 을 이용하는 간단한 계산기가 있다. 이 계산기에는 레지스터가 하나 있는데, 이 레지스터에는 0 이상 10,000 미만의 십진수를 저장할 수 있다. 각 명령어는 이 레지스터에 저장된 n을 다음과 같이 변환한다. n의 네 자릿수를 d1, d2, d3, d4라고 하자(즉 n = ((d1 × 10 + d2) × 10 + d3) × 10 + d4라고 하자)

  1. D: D 는 n을 두 배로 바꾼다. 결과 값이 9999 보다 큰 경우에는 10000 으로 나눈 나머지를 취한다. 그 결과 값(2n mod 10000)을 레지스터에 저장한다.
  2. S: S 는 n에서 1 을 뺀 결과 n-1을 레지스터에 저장한다. n이 0 이라면 9999 가 대신 레지스터에 저장된다.
  3. L: L 은 n의 각 자릿수를 왼편으로 회전시켜 그 결과를 레지스터에 저장한다. 이 연산이 끝나면 레지스터에 저장된 네 자릿수는 왼편부터 d2, d3, d4, d1이 된다.
  4. R: R 은 n의 각 자릿수를 오른편으로 회전시켜 그 결과를 레지스터에 저장한다. 이 연산이 끝나면 레지스터에 저장된 네 자릿수는 왼편부터 d4, d1, d2, d3이 된다.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L 과 R 명령어는 십진 자릿수를 가정하고 연산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서 n = 1234 라면 여기에 L 을 적용하면 2341 이 되고 R 을 적용하면 4123 이 된다.

여러분이 작성할 프로그램은 주어진 서로 다른 두 정수 A와 B(A ≠ B)에 대하여 A를 B로 바꾸는 최소한의 명령어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이다. 예를 들어서 A = 1234, B = 3412 라면 다음과 같이 두 개의 명령어를 적용하면 A를 B로 변환할 수 있다.

1234 →L 2341 →L 3412
1234 →R 4123 →R 3412

따라서 여러분의 프로그램은 이 경우에 LL 이나 RR 을 출력해야 한다.

n의 자릿수로 0 이 포함된 경우에 주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서 1000 에 L 을 적용하면 0001 이 되므로 결과는 1 이 된다. 그러나 R 을 적용하면 0100 이 되므로 결과는 100 이 된다.

입력

프로그램 입력은 T 개의 테스트 케이스로 구성된다. 테스트 케이스 개수 T 는 입력의 첫 줄에 주어진다. 각 테스트 케이스로는 두 개의 정수 A와 B(A ≠ B)가 공백으로 분리되어 차례로 주어지는데 A는 레지스터의 초기 값을 나타내고 B는 최종 값을 나타낸다. A 와 B는 모두 0 이상 10,000 미만이다.

출력

A에서 B로 변환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명령어 나열을 출력한다. 가능한 명령어 나열이 여러가지면, 아무거나 출력한다.

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include <iostream>
#include <vector>
#include <string>
#include <algorithm>
#include <queue>

using namespace std;

string bfs(int start, int target) {
	queue<pair<int, string>> q;
	vector<bool> visited(10000, false);  // 각 숫자에 대한 방문 여부를 기록

	q.push({ start, "" });
	visited[start] = true;

	while (!q.empty()) {
		int cur = q.front().first;
		string op = q.front().second;
		q.pop();

		// 목표 숫자에 도달했을 때
		if (cur == target) {
			return op;
		}

		int next;

		// D 연산
		next = (cur * 2) % 10000;
		if (!visited[next]) {
			visited[next] = true;
			q.push({ next, op + "D" });
		}

		// S 연산
		next = cur == 0 ? 9999 : cur - 1;
		if (!visited[next]) {
			visited[next] = true;
			q.push({ next, op + "S" });
		}

		// L 연산
		next = (cur % 1000) * 10 + (cur / 1000);
		if (!visited[next]) {
			visited[next] = true;
			q.push({ next, op + "L" });
		}

		// R 연산
		next = (cur % 10) * 1000 + (cur / 10);
		if (!visited[next]) {
			visited[next] = true;
			q.push({ next, op + "R" });
		}
	}
}

int main() {
	ios_base::sync_with_stdio(false);
	cin.tie(0); cout.tie(0);

	int T;
	cin >> T;
	while (T--) {
		int cur, dest;
		cin >> cur >> dest;
		string ans = bfs(cur, dest);
		cout << ans << "\n";
	}

	return 0;
}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