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를 위한 딥러닝 시즌2] Lab-04-1 Multivariable Linear regression
Multivariate Linear Regression Simpler Linear Regression 하나의 정보로부터 하나의 결론을 예측 but, 대부분 경우 예측을 위해서는 더욱 다양한 정보가 필요 복수의 정보를 통해 하나의 추측값을 계산 (예: 쪽지시험 성적 73,80,75 점인 학생의 기말고사 성적 예측) Data x...
Multivariate Linear Regression Simpler Linear Regression 하나의 정보로부터 하나의 결론을 예측 but, 대부분 경우 예측을 위해서는 더욱 다양한 정보가 필요 복수의 정보를 통해 하나의 추측값을 계산 (예: 쪽지시험 성적 73,80,75 점인 학생의 기말고사 성적 예측) Data x...
Simpler Hypothesis Function [y = W(x)] 편향(bias) b를 제외한 단순한 형태로 구성된 모델 이 모델은 실제 데이터에서는 사용하기에 부족하지만, 기초적인 선형 회귀의 개념을 학습하기에 적합 x_train = torch.FloatTensor([[1], [2], [3]]) y_train = torch.Fl...
Linear Regression 학습 데이터와 가장 잘 맞는 하나의 직선을 찾는 작업 수학적으로 \(y = Wx + b\) 형태로 표현 W: Weight (slope of the line) b: Bias (y-intercept) W는 여러 개의 가중치를 포함하는 행렬/벡터로서, 대문자로 표기 (w1, w2…) ...
Reshape는 원소 값 순서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모양(shape)만 변경 데이터의 실제 값은 바꾸지 않고 형태만 재구성 기존 차원의 곱과 변경할 차원의 곱이 일치해야 함 View (Reshape) 텐서의 모양을 원하는 대로 변경하는 기능 -1: 차원을 지정하지 않음, 보통 가장 변동이 심한 배치 사이즈에 사용 t = np.array([[[...
덱(Deque)이란? 양쪽 끝에서 삽입과 삭제가 모두 가능한 선형 자료구조 덱은 스택과 큐의 장점을 모두 갖추고 있어, 양방향에서 삽입과 삭제가 필요한 상황에 유용하게 사용 가능 특징 양방향 접근 가능: 앞과 뒤에서 삽입과 삭제가 가능 큐와 스택의 기능 결합: 스택처럼 후입선출(LIFO) 구조와 큐처럼 선입선출(FIFO) 구조를 모두 지원 ...
우선순위 큐(Priority Queue)란? 우선순위가 높은 요소가 가장 먼저 처리되는 선형 자료구조 일반적인 큐는 선입선출(FIFO)의 원칙을 따르지만, 우선순위 큐는 요소의 우선순위에 따라 추출되는 순서가 결정됨 즉, 우선순위가 높은 요소가 큐의 맨 앞에 위치하며, 우선순위가 같은 경우 선입선출의 규칙을 따름 특징 우선순위에 따라 추출:...
큐(Queue)란? 선입선출(FIFO, First In First Out) 구조를 따르는 선형 자료구조 즉, 가장 먼저 삽입된 데이터가 가장 먼저 삭제되는 방식으로 동작하며, 줄 서기나 버퍼와 같은 형태 넓이 우선 탐색(BFS), 프린터 대기열 관리, CPU 작업 스케줄링 등 순서가 중요한 작업에 자주 사용 주요 연산 enqueue: 큐...
스택이란? 후입선출(LIFO, Last In First Out) 의 원칙을 따르는 선형 자료구조 즉, 마지막에 삽입된 데이터가 가장 먼저 삭제되는 구조로, 쌓아올린 접시 나 서적 더미 와 같은 형태로 동작 재귀적 문제 , 괄호의 유효성 검사 , 문자열 뒤집기 , 그래프 탐색 등에 자주 사용 주요 연산 push: 스택의 맨 위에 새로운 요...
연결 리스트란? 각 요소가 다른 요소를 가리키는 포인터를 포함하는 선형 자료구조로, 배열과 달리 비연속적인 메모리에 저장됨 각 요소를 노드(Node)라고 하며, 각 노드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필드와 다음 노드를 가리키는 포인터로 구성 주요 특징 동적 크기: 연결 리스트는 크기가 동적으로 조정되어, 배열과 달리 미리 크기를 선언할 필요가 없음 ...
Array란? 같은 자료형의 요소들이 순차적으로 나열된 자료구조 각 요소는 고유의 인덱스로 접근할 수 있음 배열은 메모리의 연속된 공간에 데이터를 저장하여, 빠른 데이터 접근과 효율적인 메모리 관리를 제공 주요 특징 정적 크기: 배열의 크기는 선언 시점에 고정되며, 변경할 수 없음 연속된 메모리: 배열의 요소들은 메모리 상에서 연속적으로 ...